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어림셈법과 자본회수기간법

by aceremon 2024. 5. 26.

1. 어림셈법

- 어림셈법에서는 크게 두가지 유형이 있다. 여러 종류의 현금수지를 승수의 형태로 표시하는것(승수법)과 수익률의 형태로 표시하는 것(수익률법)이 있다.

- 어림셈법은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않는 비할인기법이다.

 한 해의 소득을 기준으로 하며, 처분을 고려하지 않는다.

 

할인현금수지(DCF) 분석법

화폐의 시간가치와 매 기간의 소득이득, 자본이득을 모두 고려하며 주로 대규모 부동산에 적용된다.

사용지표 동일- 합리적이다.

어림셈법(경험셈법)

화폐의 사긴가치를 고려하지 않으며 첫해 안정적인 소득이득만 고려한다.

수익이 안정적인 소규모 부동산에 적용되며 사용지표 차이 - 직접 비교가 곤란하다.

 

※ 크기비교

1. 총소득승수 < 순소득승수

2. 세전현금수지승수 < 세후현금수지승수

3. 총자산회전율 > 종합자산본한원율

4. 지분배당률 > 세후수익률

 

유형 1. 승수법

 - 총소득승수 : 총소득에 대한 총투자액의 배수이다.

 - 순소득승수: 순영업소득에 대한 총투자액의 배수이다. 순소득승수를 자본회수기간이라고도한다.

 - 세전현금수지승수: 세전현금수지에 대한 지분투자액의 배수이다.

 - 세후현금수지승수: 세후현금수지에 대한 지분투자액의 배수이다.

* 총소득과 순영업소득은 총투자액에 대한 대가인 반면, 세전현금수지와 세후현금수지는 지분투자액에 대한 대가이다.

 

유형 2. 수익률법

 - 종합자본환원율: 부동산평가에서 흔히 쓰이며, 총투자액에 대한 순영업소득의 비율이다. 종합자본환원율의 역수는 순소득승수가 된다.

 - 지분배당률(지분환원률): 지분투자액에 대한 세전현금수지의 비율로서 세전현금수지승수의 역수이다.

 - 세후수익률: 지분투자액에 대한 세후현금수지의 비율로서 세후현금수지승수의 역수이다.

 

※ 한계

미래의 현금수지를 할인하지 않기 때문에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않는다.

한 가지 방법에 의해 계산된 비율을 다른 방법에 의해 계산된 비율과 직접 비교하기 곤란하다.

 

2. 자본회수기간법

자본회수기간법(payback period method)

 1. 회수기간법의 유형

  ㄱ. 단순회수기간법: 초기에 투자된 총 금액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기간을 의미하며,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않는다.

  ㄴ. 현가회수기간법: 초기 투자비를 현재가치로 회수하는데 걸리는 기간을 의미하며,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한다.

   * 보통은 자본회수기간법이라고 하면 단순자본회수기간을 의미하며,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못한다. 현가회수기간법은 시간가치를 고려한 할인 기법이다.

 

 2. 회수기간법의 의사결정 기준

  ㄱ. 독립적인 투자안: 투자안의 자본회수기간 < 기업의 목표회수기간 따라서 투자안의 회수기간이 기업의 목표회수기간보다 짧을경우 투자가 채택이 된다. 즉 회수기간은 짧을수록 좋다.

  ㄴ. 상호배타적인 투자안: 여러 투자안들 중에서 최적의 투자안은 회수기간이 가장 짧은 투자안을 선택하게 된다.

 * 회수기간은 투자시점에서 발생한 비용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기간을 말하며, 회수기간방법에서는 투자안중에서 회수기간이 가장 단기인 투자안을 선택한다.

 

3. 평균회계이익률법

 1. 평균회계이익률 = 예상평균순이익(감가상각비 및 세금공제 후 순이익) / 평균 투자액(평균 수장부가치)

 2. 투자안의 이익률이 기업의 최소목표 평균 회계이익률보다 클 경우에 투자를 채택한다

 3. 예산 편성시에 작성되는 회계자료를 바로 이용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, 간단하며 이해하기 쉽다.

 4. 장부상의 이익인 회계적 이익을 이용하는 방법이며 현금수지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.

 5. 화폐의 시간가치를 무시했으며 목표평균회계이익률 산정시에 자의성이 개입된다.

 * 회계적 이익률법에서는 투자안의 이익률이 목표 이익률보다 높은 투자안 중에서 이익률이 가장 높은 투자안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다.